본문 바로가기

돈 공부9

231222 / 희망적으로 바뀐 주식시장 11월 즈음부터 시장은 급격히 반등하고 있다. 물가가 잡히는 지표가 지속적으로 발표되며 고용은 매우 탄탄하다. 심지어 파월의 비둘기파적인 발언까지 더하여 5퍼센트를 상회하던 미 기준금리는 현재 20년물 기준으로 4퍼센트 초반까지 내려온 상태이다. 이대로 물가가 반등하지만 않는다면 사실상 연착륙인셈이며 실제로 금리인하를 하는 시기에도 침체 없이 약간의 조정으로 시장은 꾸준히 상승을 할 수도 있다. 나의 예측은 연말에 기준금리가 반등할 수 도 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현금과 빅테크위주로 자산을 배분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하였지만 이번 연도 시장은 매서운 강추위에도 여전히 상승하고 있다. 사실상 모든 자산이 롱포지션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수익률의 숫자는 오르지만 이것이 점점 허상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 2023. 12. 23.
231014 / 고금리 장기화 고금리 장기화는 사실상 기정사실이 되었다. 5.5%에서 더 올리기는 힘들겠지만 금리인하까지는 꽤나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이 된다. 미국외 다른나라는 이미 침체의 그림자가 드리운듯 하지만 미국만은 당장 침체라고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고금리와 약간의 성장이 함께하고 있으니 사실상 골디락스가 아닌가 싶다. 물론 어떠한 사건에 의해 경기침체를 불러오게 된다면 순식간에 금리인하를 할수있다. 그런것들에 배팅하는 사람들이 장기채와 현금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 러시아에 이어 이스라엘까지 전운이 감돌며 국제정세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이번주도 약간이지만 상승마감을 했다. 애플 3분기 실적이 괜찮게 나올것이라는 생각과 고금리의 장기화에 배팅하여 모든 달러예금을 해지하고 애플을 샀.. 2023. 10. 14.
230921 / 파월의 매파적 발언 9월 20일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하였다. 하지만 파월이 연내에 금리인상을 더 할 수 있다고 하자 모두가 내심 최종금리인줄 알았던 5.5%는 결국 최종금리가 아닌것이 되어 버렸다. 이는 시장에 충격을 주어서라도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뜻이며 개인적으로 굉장히 옳은 판단이라고 생각한다. 이전 인플레이션도 수차례 금리인상을 했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을 내리는데에는 몇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벌써부터 금리인하에 배팅을 하며 장기채를 매입하는 것은 시기상조인듯 하지만 이전 연준의 행동을 잊지 말아야 한다. 파월은 코로나로 인해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려고 지속적인 금리인하와 유지를 예고했고 당시에만 해도 2024년 까지는 저금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전혀 금리인상의 낌새를 보이지 않았으며 테이퍼링을 하며 천천.. 2023. 9. 21.
230905 / 투자에 목매는 것 현금을 유지하는 것이 이렇게 어려울 줄이야. 달러와 원화만 현금으로 모아서 연 5%대의 안전마진을 가진 수익을 노리겠다는 나의 다짐은 한 달 만에 무참히 깨졌다. 애플이 급락하는 것을 도저히 보기가 힘들었고 연초만큼은 아니지만 달러 예금의 절반정도를 인출해 애플과 비트코인 관련주를 매수했다. 애플은 급반등에 성공하여 현재 약 5%의 수익이지만 비트코인 관련주는 큰 하락을 맞고 물려있다. 이마저도 수익난 애플을 지금 엑시트하고 비트코인 관련주에 물을 타볼까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아직도 한다. 그렇게 책을 많이 읽고 투자 관련 유튜브 영상을 봐왔음에도 알고 있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천지 차이다. 왜 내가 이러한 멍청한 짓을 반복하는지를 다시한번 생각해 보니 결론은 '주관'이 없어서 이다. 달러예금 5%대 수익.. 2023. 9. 6.
230815 / 드디어 하락의 시작인가 인플레이션은 아직까지 꺾이고 있지만 시장 참가자들은 여전히 불안요소가 있는 것 같다. 만약 물가지수가 원자재나 유가로 인해 재 반등 한다면 속도는 걷잡을 수 없이 다시 오름새로 갈 수 있으며 이는 확실한 경기침체가 필요하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인플레이션은 한풀 꺾였으나 시장이 최근 10%가량 조정을 겪은 것이 그러한 이유이다. 점점 하락론자들은 많아지며 시장은 큰 하락을 기다리고 있고 대비하고 있다. 심지어 원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오르는 경우는 어떠한 경우인가? 이 상태로 인플레이션의 반등 없이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3% 물가상승률을 맞추는 성공적인 상황이 발생한다는 시나리오를 생각해 보자. 사람들은 자발적 디레버리징을 하며 말 그대로 소프트랜딩을 실현한다. 주식시장은 이제껏 안 올랐.. 2023. 8. 15.
230716 / cpi에 시장은 환호했지만 물가상승률이 점점 내려가고 있다. 분명 좋은 신호 이고 이대로 상승률이 지속적으로 내려간다면 아름다운 연착륙에 내년 금리인하까지 생각해볼 수 있다. 그렇다면 주식시장은 끝까지 버티며 많은 수익률을 내지는 않더라도 침체로 인한 큰 하락을 겪지 않을 것이다. 한편 국내에선 장기채에 모두 몰빵을 하고 있는 듯 하다. 경착륙이던 연착륙이던 모두 장기채에게 좋은 상황이라는 것이다. 연착륙을 한다면 장기채에서 큰 수익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잃지 않을 것이고 경착륙을 한다면 금리 인상과정에서 게속 추가매수 하며 금리 인하때 최고의 수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연준이 인플레를 상당히 두려워 하는 만큼 연착륙의 가능성은 높지 않고 경착륙을 시켜서라도 자산시장에 충격을 주고 물가상승을 잡을 것이라는 생각인데. 문제는 어디.. 2023.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