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공부

연금저축펀드 가입 안하면 손해보는 이유

by jhsin92∙∹> 2023. 6. 25.
반응형

국내에는 여러 재테크 방법이 있지만 직장인으로서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재테크는 증권사를 통한 연금저축펀드 가입이라고 생각한다. 55세까지 돈이 묶인다는 점이 단점이지만 강제적 장기투자의 마인드로 ETF를 모아간다면 매년 세액공제 혜택과 더불어 수익금에 대한 비과세 혜택까지 있는 꼭 가입해야 할 상품이다.

연금저축펀드

1. 가입 조건과 방법

연령, 소득 상관없이 증권사에서 온라인으로 여러개의 계좌도 가입이 가능하지만 매년 입금해야 하는 한도가 정해져 있다. 기본적으로 투자에 제한이 있는 상품들은 혜택이 좋다고 생각하면 된다.

  • 납입한도

연간 1,800만원까지 가능하지만 세액공제가 가능한 금액은 연간 최대 600만 원까지이다. 

그러므로 돈이 많이 묶이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매년 600만원 정도만 납입하면 세액공제를 모두 받을 수 있다.

연 소득 5,500만원 이하는 16.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연 소득 5,500만원 초과는 13.2%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내가 원하는 ETF를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세액공제를 받으니 투자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가입을 하는 것이 좋다.

  • 매수가능상품

모든 ETF를 매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별주식은 당연하게 매매가 불가능하고 해외 ETF나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은 매수할 수 없다. 다만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는 매수가 가능하다. 최근 인기가 많은 ACE 미국배당 다우존스나 아리랑 미국 고배당 주, tiger 미국 s&p500 등 해외 투자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만약 중도해지를 할 경우 세액공제를 받은 부분에 대해 16.5%의 기타 소득세를 모두 뱉어내야 하니 여유자금으로 느긋하게 월 적립을 하는 방식으로 하기를 추천한다.

2. 포트폴리오

어떤 ETF를 매수하냐는 것에는 개인의 선택이다. 미국 s&p500에 올인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모방해서 전략을 짜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매수하는 ETF를 나열해 보겠다.

  • Tiger 미국 S&P500 - 미국의 s&p를 추종하는 상품이다. 환헷지는 되지 않으니 참고하자.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미국의 배당성장주를 추종하며 월배당을 지급한다. SCHD의 한국버전
  • KODEX 미국채혼합 - 미국 채권 60% 국내 주식 40%를 추종하는 안전상품이다.
  • KODEX 국고채 10년 - 국내 10년물 채권가격을 추종한다.
  • ACE KRX 금현물 - 금을 투자하고 싶다면 해당 ETF를 매수하면 된다.

세액공제를 받을 만큼 투자하기를 권하는 이유 중 하나는 지속적으로 세액공제한도가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작년만 해도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해주었지만 이번 연도에 600만 원으로 늘린 것을 보니 앞으로도 늘어날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하며 원화자산에 너무 많은 돈을 투입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적절한 자산분배가 필요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