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인간이 A.I 보다 나은 점

by jhsin92∙∹> 2023. 3. 20.
반응형

놀라울 정도로 발전하는 인공지능 A.I 의 발전에 사람들은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어떠한 직업이 대체될지에 대한 토론과 비관론적인 주장. 즉, 인간은 하층 노동자로 전락할 것이며 창작물 마저 지배당할 것이다. 등 호기심 반 두려움 반으로 A.I의 발전을 눈여겨보고 있다. 물론 A.I의 발전속도는 놀랍고 머지않아 전문성을 지배해 윤리적인 차원에서의 법안이 필요할 수도 있다. 우리가 중독성 약물이나 방사능 폭탄을 더욱 발전시키지 않도록 제재하는 것처럼 말이다.

불완전

인공지능 A.I의 중요한 역할은 무엇인가? 바로 모든것에 완벽한 결과를 도출해 내려는 것이다. 이것은 A.I를 완벽하게 만들어주는 한편 매력적이지 않게 만든다. 주변 사람들 중에 항상 완벽해 보이려고 노력하고 남에게 허점을 보이지 않으려는 도도한 사람이 있다면 한번 떠올려보라. 이러한 사람이 주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고 사교적인지를. 아마 대부분의 답변은 '아니요' 일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남의 허점이나 실수를 보고 나와 같은 인간이라는 인간성에 동질감과 매력을 느끼기 때문이다.

즉, 절대로 A.I는 인간과 친밀한 관계를 가질 수 없으며 단순히 도구로 사용될 것이다. 체스나 바둑경기도 마찬가지이다. A.I는 이미 이러한 게임에서 인간을 수월하게 이길 수 있다. 하지만 그 누가 A.I끼리 하는 체스와 바둑을 보겠는가? 그런 답답하고 뻔한 경기를 보느니 인간의 불완전성을 보여주는 컨텐츠를 찾아볼 것이다.

예측불가능

A.I는 예측 불가능한 행동을 할 수 없다. 모든것이 다 알고리즘으로 짜여 있으며 정보의 양이 많을지 언정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로 파블로 피카소의 그림을 떠올려 보겠다. 이목구비가 뒤죽박죽인 피카소의 그림은 A.I가 절대로 혼자서 생성해 낼 수 없다. 이미 생성된 피카소의 그림을 보고 비슷하게 그릴 수는 있겠지만 말이다.

또한 A.I는 실수를 하지 않는다. 인류의 발전에 있어서 실수는 절대로 빼놓으면 안되는 행위이다. 다이너마이트도 인간의 실수에서 비롯된 발명품이며 오늘날 자동차 타이어, 구명보트, 장갑, 튜브, 벨트 등 실수에서 비롯된 발명품은 굉장히 많다.

반응형

댓글